꼬마 대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꼬마 대령은 남북전쟁 이후, 남부의 로이드 대령이 북부 출신과 결혼한 딸과 절연한 후, 손녀 로이드 셔먼이 대령의 대농장을 방문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이다. 셜리 템플, 라이오넬 배리모어 등이 출연하며, 템플과 빌 로빈슨의 탭댄스 장면으로 유명하다. 이 춤은 할리우드 최초의 인종 간 댄스 페어링이었으나, 미국 남부에서는 삭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켄터키주를 배경으로 한 영화 - 킹스맨: 골든 서클
2017년에 개봉한 영화 《킹스맨: 골든 서클》은 매튜 본 감독의 스파이 액션 영화로, 킹스맨 본부가 파괴된 후 영국 스파이 조직 킹스맨이 미국 스파이 조직 스테이츠맨과 협력하여 국제 범죄조직 '골든 서클'의 음모를 막는 과정을 그린다. - 켄터키주를 배경으로 한 영화 - 007 골드핑거
1964년 개봉한 제임스 본드 시리즈 세 번째 영화 《007 골드핑거》는 숀 코너리 주연으로 금괴 밀수범 오릭 골드핑거의 미국 금괴 보관소 침투 계획을 막는 제임스 본드의 활약을 그린 작품이며, 아카데미상 수상과 셜리 배시의 주제가, 애스턴 마틴 DB5 등장으로도 유명하다. - 1870년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 - 라스트 사무라이
1876년 메이지 유신 시대 일본을 배경으로, 미국 남북전쟁 참전 용사가 사무라이 문화에 심취하여 그들과 함께 정부에 맞서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 《라스트 사무라이》는 서구 문명과 일본 전통 문화의 충돌, 개인의 성장을 다루며 역사적 고증 및 서사 논쟁을 야기했다. - 1870년대를 배경으로 한 영화 -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영화)
마가렛 미첼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는 남북 전쟁과 재건 시대를 배경으로 스칼렛 오하라와 레트 버틀러의 사랑, 타라 농장을 지키기 위한 스칼렛의 노력을 그린 역사 로맨스 작품이지만, 흑인 묘사와 남부 백인 중심 시각에 대한 논란으로 재평가되고 있다. - 1935년 영화 - 프랑켄슈타인의 신부
《프랑켄슈타인의 신부》는 1935년 제임스 웨일 감독의 고딕 호러 영화로, 전편에서 살아남은 괴물을 위해 헨리 프랑켄슈타인 박사와 프레토리우스 박사가 신부를 창조하려 하며, 보리스 카를로프, 콜린 클라이브, 엘사 랜체스터의 열연과 기독교적 이미지, 동성애적 암시 등으로 주목받아 흥행과 함께 고전 영화로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 1935년 영화 - 밀고자 (1935년 영화)
1935년 제작된 미국 드라마 영화 《밀고자》는 리암 오플라허티의 소설을 원작으로 존 포드 감독이 연출했으며, 아일랜드 공화국군 대원을 밀고한 남자의 비극을 그린 작품으로 아카데미상 4개 부문을 수상하며 비평적 성공을 거두었다.
꼬마 대령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감독 | 데이비드 버틀러 |
프로듀서 | 버디 G. 데실바 |
각본 | 윌리엄 M. 콘설먼 |
원작 | 애니 펠로스 존스턴 |
출연 | 셜리 템플 라이어널 배리모어 에블린 베너블 존 로지 빌 로빈슨 해티 맥대니얼 |
음악 | 시릴 J. 모크리지 |
촬영 | 아서 C. 밀러 |
제작사 | 폭스 필름 |
배급사 | 폭스 필름 |
개봉일 | 1935년 2월 22일 |
상영 시간 | 80분 |
국가 | 미국 |
언어 | 영어 |
흥행 수익 | 120만 달러 |
일본 정보 | |
공개일 (일본) | 1935년 9월 |
스태프 | |
촬영 | 아서 C. 밀러 윌리엄 V. 스콜 |
2. 줄거리
남북전쟁 후, 남부의 로이드 대령은 딸 엘리자베스가 북부 출신 잭 셔먼과 결혼하자 절연한다. 딸 부부는 손녀 로이드 셔먼을 낳고 서부로 향한다. 로이드는 서부 변경 기지에서 명예 대령으로 추대 받는다. 잭은 사기를 당해 금이 없는 땅을 வாங்க게 되는데, 그곳을 유니언 퍼시픽 철도가 지나가게 되면서 거액의 통행권료를 받을 기회를 얻는다. 이를 알게 된 사기꾼들이 잭을 협박하며 증서를 뺏으려 하고, 로이드는 이 사실을 로이드 대령에게 알리지만 대령은 도움을 거부한다. 한편, 남군 장교였던 로이드 대령의 대농장에 손녀 로이드 셔먼이 찾아온다. 로이드 셔먼의 어머니는 로이드 대령의 딸이었지만, 북부인과 결혼했기 때문에 절연 상태였다.
셜리 템플이 로이드 셔먼 역을, 라이오넬 배리모어가 로이드 대령 역을, 에블린 베너블이 엘리자베스 로이드 셔먼 역을, 존 로지가 잭 셔먼 역을, 시드니 블랙머가 스와지 역을, 스티븐 체이스가 헐 역을, 윌리엄 버러스가 스콧 박사 역을, 프랭크 대리언이 네블러 역을, 빌 로빈슨이 워커 역을, 로버트 워릭이 그레이 대령 역을, 해티 맥다니엘이 베키 '맘 벡' 포터 역을 맡았다. 그 외에도 제네바 윌리엄스, 아보니 잭슨, 냔자 포츠 등이 출연하였다.
3. 등장인물
3. 1. 주연
셜리 템플이 로이드 셔먼 역을, 라이오넬 배리모어가 로이드 대령 역을, 에블린 베너블이 엘리자베스 로이드 셔먼 역을, 존 로지가 잭 셔먼 역을, 시드니 블랙머가 스와지 역을, 스티븐 체이스가 헐 역을, 윌리엄 버러스가 스콧 박사 역을, 프랭크 대리언이 네블러 역을, 빌 로빈슨이 워커 역을, 로버트 워릭이 그레이 대령 역을, 해티 맥다니엘이 베키 '맘 벡' 포터 역을 맡았다. 그 외에도 제네바 윌리엄스, 아보니 잭슨, 냔자 포츠 등이 출연하였다.
3. 2. 조연
에벌린 베너블이 엘리자베스 로이드 셔먼 역을 맡았다. 존 로지는 잭 셔먼 역을 연기했다. 시드니 블래크머는 스와지 역을 맡았다. 스티븐 체이스는 헐 역을 연기했다. 윌리엄 버레스는 스콧 박사 역을 맡았다. 프랭크 대리언은 네블러 역을 연기했다. 빌 로빈슨은 워커 역을 맡았다. 로버트 워릭은 그레이 대령 역을 연기했다. 해티 맥대니얼은 베키 '맘 벡' 포터 역을 맡았다. 제네바 윌리엄스는 마리아 역, 아보니 잭슨은 메이 릴리 역, 냔자 포츠는 헨리 클레이 역을 연기했다.
4. 제작 과정
《꼬마 대령》은 로빈슨과 템플이 함께 추는 유명한 계단 탭 댄스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이 춤은 할리우드 역사상 최초의 인종 간 댄스 페어링이었으며, 매우 논란이 되어 미국 남부에서는 삭제되었다.[2] 이 아이디어는 D. W. 그리피스와 논의한 후 폭스사 사장 윈필드 시한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다. 시한은 로빈슨을 주시했지만, 그의 배우로서의 능력에 대해 확신하지 못하여 로빈슨이 연기 테스트에 실패할 경우 무효가 되는 계약을 체결했다. 로빈슨은 테스트를 통과했고, 템플과 함께 출연하여 그녀에게 탭 댄스를 가르치게 되었다.[2] 템플은 수년 후 다음과 같이 회상하며, 그들은 곧 좋은 관계를 맺었다.
로빈슨은 우리보다 한 발 앞서 걸었지만, 내가 따라잡으려고 서두르는 것을 눈치채고는 걸음을 줄여 내 걸음에 맞췄다. 나는 계속 그의 손을 잡으려고 손을 뻗었지만, 그는 아래를 보지 않았고 그것을 알아차리지 못하는 듯했다. 패니는 그에게 내가 하는 것을 알렸고, 그는 갑자기 멈춰 서서 나를 낮게 굽어보며, 눈을 크게 뜨고 넓은 미소로 눈부신 이빨을 드러냈다. 그가 내 손을 잡았을 때, 그것은 크고 시원하게 느껴졌다. 잠시 동안 우리는 침묵 속에서 계속 걸었다. "빌 삼촌이라고 불러도 될까요?"라고 내가 물었다. "물론이지." 그가 대답했다... "하지만 그러면 나는 널 애인이라고 부를 수 있어." 거래가 성사되었다. 그때부터 우리는 함께 걸을 때마다 손을 잡고 다녔고, 나는 항상 그의 "애인"이었다.[3]
촬영 중 템플은 베테랑 배우 라이오넬 배리모어가 대사를 잊어버리자 그의 대사를 알려주어 분노하게 만들었고, 그는 화가 나서 촬영장을 떠났다. 템플은 배리모어에게 사과하러 갔지만, 직접 사과하는 대신 그가 세상에서 가장 훌륭한 배우라고 생각하며 그의 사인을 요청하여 상황을 무마하고 배리모어를 촬영장으로 다시 데려왔다.[4]
이 영화는 초기 테크니컬러 영화를 잠시 사용했는데, 이는 배우들에게 붉은 색조의 화장을 많이 사용할 것을 요구했다. 이는 템플이 폭스 영화 세트장에서 화장을 한 유일한 경우였다.[5]
5. 평가
앙드레 센왈드는 1935년 3월 22일자 뉴욕 타임스의 리뷰에서 이 영화에 대해 "모두 목련의 변덕스러움과 방대한 양의 인공적인 딕시 분위기로 가득하다"고 평했다.[7] 그는 또한 이 영화가 "어린아이의 매력에 대한 셜리 템플의 뛰어난 재능을 너무나 무자비하게 이용한 나머지 제대로 활기차고 유쾌한 모습을 거의 보여주지 못한다"고 썼다.[7] 그는 마지막 페이드 아웃 후 관객들이 11초 동안 박수를 쳤으며 이 영화가 "보는 모든 사람에게 최고의 감정을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결론을 맺었다.[7]
6. 개봉
폭스는 남부 주에서의 상영을 위해 템플과 로빈슨이 손을 잡는 계단 장면을 삭제했다.[6] 2009년에는 컬러화, 극장 예고편 및 기타 특별 기능을 포함한 버전의 비디오 카세트 및 DVD가 출시되었다.
7. 한국 사회에 주는 의미
참조
[1]
서적
Aubrey Solomon, ''Twentieth Century-Fox: A Corporate and Financial History'' Rowman & Littlefield, 2002 p 217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23-03-14
[2]
서적
Child Star: An Autobiography
McGraw-Hill Publishing Company
[3]
서적
Child Star: An Autobiography
McGraw-Hill Publishing Company
[4]
서적
Child Star: An Autobiography
McGraw-Hill Publishing Company
[5]
서적
Child Star: An Autobiography
McGraw-Hill Publishing Company
[6]
간행물
Reconstructing Shirley: Pedophilia and Interracial Romance in Hollywood's Age of Innocence
https://www.academia[...]
Duke University Press
2009
[7]
뉴스
Shirley Temple and Lionel Barrymore in 'The Little Colonel,' the New Film at the Music Hall
https://movies.nytim[...]
1935-03-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